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이번에 알아볼 것은 영어 표현 'be supposed to'의 뜻입니다. 많은 영어 학습자들이 이 표현을 단순히 '~해야 한다'로만 알고 있지만, 실제로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 표현은 일상 대화에서 매우 자주 사용되므로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be supposed to의 4가지 핵심 의미와 각각의 사용법을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실제 예문과 함께 설명드리니 끝까지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be supposed to 기본 의미 4가지
첫 번째 의미: 예정이나 계획을 나타냅니다. 이미 정해진 일정이나 계획된 상황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The meeting is supposed to start at 3 PM.'(회의는 오후 3시에 시작하기로 되어 있다)처럼 사용됩니다.
두 번째 의미: 의무나 책임을 표현합니다. 규칙이나 법에 따라 해야 하는 일을 나타낼 때 쓰입니다. 'Students are supposed to wear uniforms.'(학생들은 교복을 입어야 한다)와 같이 사용됩니다.
세 번째 의미: 추측이나 예상을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그럴 것이라고 여겨지는 상황을 표현합니다. 'This medicine is supposed to help with headaches.'(이 약은 두통에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처럼 쓰입니다.
네 번째 의미: 금지나 제한을 표현합니다. 부정문에서 사용될 때 '~하면 안 된다'는 의미가 됩니다. 'You're not supposed to smoke here.'(여기서 담배를 피우면 안 된다)와 같이 사용됩니다.
상황별 사용법 상세 분석
예정이나 계획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주로 시간이나 장소와 함께 사용됩니다. 'The train is supposed to arrive at 5:30.'(기차는 5시 30분에 도착할 예정이다)처럼 구체적인 시간 정보와 함께 쓰입니다. 이때는 단순히 정해진 일정을 알리는 중립적인 톤으로 사용됩니다.
의무나 책임을 표현할 때는 규칙이나 사회적 기대와 관련된 맥락에서 사용됩니다. 'Parents are supposed to take care of their children.'(부모는 자녀를 돌봐야 한다)처럼 도덕적이나 사회적 의무를 나타냅니다. 이 경우 화자의 판단이나 사회의 기대가 반영됩니다.
추측이나 예상의 의미로 사용될 때는 일반적인 믿음이나 기대를 바탕으로 합니다. 'Exercise is supposed to make you feel better.'(운동은 기분을 좋게 해준다고 여겨진다)처럼 널리 알려진 사실이나 기대를 표현할 때 쓰입니다.
부정문에서의 특별한 용법
부정문 'be not supposed to'는 금지나 제한의 의미가 매우 강합니다. 단순히 'should not'보다 더 강한 제재나 규칙을 나타냅니다. 'Children are not supposed to stay up late.'(아이들은 늦게까지 깨어 있으면 안 된다)처럼 사용됩니다.
이러한 부정 용법은 특히 규칙 위반이나 예상과 다른 상황을 지적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This door is not supposed to be locked.'(이 문은 잠겨 있으면 안 되는데)처럼 예상과 다른 상황을 표현할 때 쓰입니다.
과거형 was/were supposed to의 활용
과거형으로 사용될 때는 실현되지 않은 계획이나 기대를 나타냅니다. 'I was supposed to meet him yesterday, but he didn't show up.'(어제 그를 만나기로 했는데 나타나지 않았다)처럼 계획이 실행되지 않았음을 암시합니다.
과거형은 또한 과거의 의무나 기대를 표현할 때도 사용됩니다. 'Students were supposed to submit their papers by Friday.'(학생들은 금요일까지 과제를 제출하기로 되어 있었다)처럼 과거의 규칙이나 기대를 나타냅니다.
QnA 섹션
Q: be supposed to와 should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A: be supposed to는 이미 정해진 규칙이나 기대에 바탕을 두고 있는 반면, should는 화자의 개인적인 의견이나 조언을 나타냅니다.
Q: be supposed to 다음에 어떤 동사 형태가 와야 하나요?
A: 항상 동사원형이 와야 합니다. 'be supposed to + 동사원형' 형태로 사용됩니다.
Q: 'supposed to'만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나요?
A: 아니요. 반드시 be동사와 함께 'be supposed to' 형태로 사용해야 합니다.
Q: 과거형에서 실현되지 않은 일을 나타낼 때 어떤 뉘앙스인가요?
A: 계획이나 기대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아쉬움이나 실망감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Q: 'be going to'와 'be supposed to'의 차이는?
A: 'be going to'는 개인의 계획이나 의도를, 'be supposed to'는 외부에서 정해진 계획이나 기대를 나타냅니다.
Q: 공식적인 상황에서 사용해도 되나요?
A: 네, 공식적인 상황에서도 자주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특히 규칙이나 절차를 설명할 때 유용합니다.
Q: 어떤 시제와 함께 사용할 수 있나요?
A: 현재, 과거, 미래 모든 시제와 함께 사용 가능하며, be동사의 형태만 시제에 맞춰 변화시키면 됩니다.
Q: 'supposed to'의 발음은 어떻게 하나요?
A: [səˈpoʊzd tu]로 발음하며, 'supposed'의 'd'는 보통 약하게 발음됩니다.
Q: 질문문에서는 어떻게 사용하나요?
A: 'Are you supposed to be here?'(여기 있어도 되나요?)처럼 be동사를 문장 앞으로 이동시켜 사용합니다.
Q: 'be supposed to'와 'have to'의 차이점은?
A: 'have to'는 강한 의무를, 'be supposed to'는 상대적으로 약한 기대나 규칙을 나타냅니다.
Q: 일상 대화에서 얼마나 자주 사용되나요?
A: 매우 자주 사용되는 표현으로, 특히 계획이나 규칙에 대해 말할 때 빈번하게 등장합니다.
Q: 'be meant to'와 의미상 차이가 있나요?
A: 'be meant to'는 원래 의도나 목적을 강조하는 반면, 'be supposed to'는 기대나 계획을 더 중시합니다.
결론
오늘 살펴본 'be supposed to'는 영어에서 매우 중요하고 유용한 표현입니다. 예정된 계획부터 의무, 추측, 그리고 금지까지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되므로 각각의 뉘앙스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과거형으로 사용될 때는 실현되지 않은 계획이나 기대를 나타낸다는 점을 기억해두시기 바랍니다. 일상 대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표현이므로 다양한 예문을 통해 연습해보시길 추천합니다. 그럼 여기까지 be supposed to의 뜻과 상황별 사용법을 알아봤습니다.



